디지털 앱을 통해 자신만의 메모를 구축하였다면 추후 어떻게 검색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 될 수 있습니다. 좋은 검색을 하려면 메모 수집, 정리 등도 중요한데요. 관련 내용은 제 블로그에서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컨드 브레인의 저자 티아고 포르테의 메모 검색 방법 4가지를 제시합니다.
![메모 검색 방법 4가지 - 티아고 포르테 1 메모 검색 방법](https://titanbrain.co.kr/wp-content/uploads/2023/10/메모-화면-가로2-1-1024x576.jpg)
1. 찾아보기 Search : 강력한 메모 검색 방법
디지털 앱 마다 검색 기능이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검색 기능이 뛰어납니다. 검색을 통해서 찾아보기 기능을 사용한다면 자신의 메모 앱에서 저장 했던 정보를 언제든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을 찾는지 정확히 모르는 상태 이거나 자료가 존재하는지 살펴볼 기존 폴더가 없거나, 혹은 텍스트 보다 이미지를 찾으려는 상황에서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둘러보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둘러보기 Browsing : 전반적인 메모 훑어보기
찾아보기 방법이 효율적이고 강력하다면 둘러보기 기능은 빠르게 훑어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에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가 찾는 정보를 향해 여유있게 나아갈 수 있고, 일반적인 내용으로 시작해 점점 더 구체적인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천재들에게 주어진다는 맥아더 MacArthur 상을 받았던 심리학 교수 바버라 트버스키 Barbara Tversky는 추상적 사고보다 공간적 사고에 훨씬 더 뛰어나고 연결성이 쉽다고 말합니다. 그런 면에서 둘러보기가 자신의 목표 도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태그하기 Tags
메모 검색을 할 때 폴더의 경우 아이디어가 분리되어 저장되어 흥미로운 연관성을 발견해내기 힘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메모, 정보 수집을 할 때 태그를 잘 분류해 둔다면 광범위한 주제와 패턴을 더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우선 검색 방식으로 태그를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먼저 찾아보기, 둘러보기 기술을 사용하고 난 뒤에 활용해보세요.
4. 뜻밖의 발견 Serendipity
이 검색 방법은 구체적으로 말하기 힘든 기능이지만 여러 면에서 가장 강력하다고 합니다. 어느 순간 상황이 깔끔하게 정리되고 아이디어 사이의 연결이 갑자기 떠올라 깜짝 놀라는 경험을 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4-1. 뜻밖의 발견을 위한 요령
앞의 세 가지 검색 방법(찾아보기, 둘러보기, 태그)들을 활용할 때 초점을 조금 넓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기준에만 드러맞는 정보만 검색하기보다 유사한 프로젝트, 관련 영역과 다른 정보 유형도 같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시각적 패턴이 있으면 뜻밖의 발견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텍스트 메모 뿐만 아니라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수집하라고 티아고 포르테는 강력하게 제안합니다. 태생적으로 인간의 뇌는 시각 정보에 끌리기 때문입니다.
![메모 검색 방법 4가지 - 티아고 포르테 2 메모 검색 4가지](https://titanbrain.co.kr/wp-content/uploads/2023/10/메모1-5-1024x1024.jpg)
5. 결론
저도 여러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많은 메모를 수집하고 있지만 검색을 효율적으로 해보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검색을 잘 하려면 처음부터 정보 수집을 할 때 시각 자료, 태그 기능을 잘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제 블로그에 제시한 메모 정리 방법(PARA 분류 방법)을 잘 활용하시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Be the Titan 타이탄 브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