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스키마에 의한 대처방식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점검해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의 중요성
심리도식의 인지적, 체험적 작업을 통해 스키마를 약화시켜도 행동을 바꾸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을 파악하고 바꾸는 것은 중요합니다.
심리도식치료에서 행동패턴을 바꾸는 것은 대개 치료자들이 맨 마지막에 다루며 인지적 체험적 단계를 충분히 거치지 못했을 경우 행동변화를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행동패턴을 바꾼다는 것은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습관을 바꾸는 방법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그와 관련된 글은 습관 4단계 링크, 습관 리스트 작성 링크 글을 참고해주세요!
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과 대처방식
심리도식치료에서 변화시켜야 할 행동패턴은 내담자들의 대처방식 입니다. 대처방식은 스키마가 촉발될 때 내담자들이 대처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기패배적인 행동입니다.
✔︎대처방식 : 초기 부적응 도식에 의한 굴복, 회피, 과잉보상하는 행동
✔︎굴복 : 자신의 스키마가 진실이라고 믿으며 행동하는 것
✔︎회피 : 자신의 스키마를 느끼지 않기 위해 피하는 행동을 하는 것
✔︎과잉보상 : 자신의 스키마의 반대인 것 처럼 행동하는 것
대처방식은 내담자들이 일생동안 살아오면서 형성된 하나의 행동 패턴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정한 하나의 반응은 대처 반응이라고 표현합니다. 대처방식에 대한 개념은 아래 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대처방식을 통한 스키마 유지
내담자들은 스키마를 영속화시키는 상황을 계속 유지하고 선택하며,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믿음과 행동 패턴을 지속시킵니다.
✔︎영속화 : (사전적 정의) 계속 유지시키는 것
내담자의 인지나 정서 변화보다 행동패턴을 바꾸는 것이 더 어렵기 때문에 치료자는 공감적 직면을 통해 끈기 있는 태도로 내담자를 대해야 합니다.
대처방식은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변화를 시도할 수 있으나 스키마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재발이 쉽고 근본적인 변화를 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시) 자기주장 훈련을 통해 여자친구에게 한계를 두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중요한 타인들에게 굴복하는 행동 패턴은 변화시키기 힘들 수 있음
인간은 보통 습관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한다고 이야기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대처방식 또한 하나의 습관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데, 습관과 정체성의 관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글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 변화 시기
내담자가 인지적이고 체험적인 부분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시기에 따라 행동패턴을 바꾸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자신의 초기 부적응 도식이 촉발될 때, 스키마의 이름을 붙이고, 어린 시절에서 스키마의 유래를 알아내며, 건강한 어른을 활용한 스키마 대화를 해낼 수 있을 때가 그 시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행동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
사례개념화 다듬기
사례개념화를 작성하면서 대처방식(굴복, 회피, 과잉보상)을 자세하게 검토하여 정교하게 다듬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변화시켜야 할 행동과 환경 리스트 작성하기
– 주요 생활(친밀한 관계, 직장 활동, 기타 사회 활동 등)에 따라 구분해서 다루기
(내담자가 상황에 따라 다른 스키마,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
대처행동의 세부적인 묘사
치료자는 내담자의 자기파괴적 행동을 밝히기 위해 문제 상황을 꼼꼼하게 체크해야 합니다.
내담자가 스키마가 촉발된 상황을 이야기 할 때 치료자는 특정 대처 행동을 명료화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가 답변을 할 때 자신의 스키마에 일치시키기 위해 그에 맞지 않는 증거는 무시할 수 있는 경향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촉발 사건에 대한 심상
문제 상황에 대해 내담자가 기억하기 어려워 할 경우 치료자는 그 상황에 대해 심상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에게 두 눈을 감고 그 상황에 대한 심상을 그려보라고 요청하면서 “무슨 생각하세요? 느낌이 어떠세요? 무엇을 하고 싶으세요? 그 다음엔 무엇을 하실 거죠? 등의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심상을 통해 내담자가 이전에 생각할 수 없었던 사고, 감정, 행동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치료적 관계에서의 행동
치료 관계에서 보이는 내담자의 행동은,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에서 바꾸어야 할 행동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치료자가 내담자의 행동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정보이기 때문에 특히 중요합니다.
중요한 타인의 보고
내담자의 대처행동으로 인해 문제행동에 대한 자기 보고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 가족 구성원, 친구들로부터 내담자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내담자의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 내담자의 부적응적인 행동 유형
–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와 과거력
주로 문제가 되는 행동에 초점을 두고 정보를 수집합니다.
– 어떤 스키마가 이들 관계에서 촉발되었나?
– 내담자는 어떻게 대처했는가?
– 내담자가 정확히 무엇을 했는가?
– 스키마를 영속시키는 자기패배적인 행동은 어떤것이었는가?
스키마 질문지
Young 스키마 질문지를 통해 굴복 행동, Young-Rygh 회피 질문지를 통해 회피 행동, Young 과잉보상 질문지를 통해 과잉보상 행동 등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심리도식치료 행동패턴과 대처방식, 그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행동 패턴을 변화하기 위한 전략은 인지적, 정서적인 변화 이후에 시작해야 합니다.
내담자의 행동패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담자나 내담자의 가족으로부터 자세히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사례개념화를 다듬어야 합니다. 또한 심상과 스키마 질문지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인 심리도식 행동패턴 바꾸는 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Be the Titan 타이탄 브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