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 알아보기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인지행동치료의 변천사,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의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 이해가 빠릅니다. 인지행동치료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아론 벡(Aaron T. Beck)이 1960년대에 인지치료를 개발해서 1980년대에 행동치료와 결합되어 발전한 정신 치료입니다.

1. 인지치료 (Cognitive Therapy)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는 1960년대 초에 펜실베니아 대학교 정신과 교수였던 아론 벡(Aaron T. Beck)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아론 벡은 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을 전문적으로 훈련받은 정신분석가였습니다. 그는 임상에서 정신과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정신분석 이론의 한계를 발견하고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당시 정신과 치료에서 중심이었던 정신분석치료는 프로이트에 의해 만들어진 정신치료로, 정신과 치료의 근간을 제시했던 학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적인 검증 과정을 제대로 밟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도 있었습니다.

아론 벡은 정신분석치료의 과학적인 근거를 도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 하였는데, 기존의 정신분석치료에서 이야기하는 우울증의 원인이 억제된 분노가 아니라 왜곡된 부정적인 사고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결국 그는 왜곡된 사고, 믿음을 변화시켜서 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단기 정신 치료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치료가 바로 인지치료 입니다. 인지치료는 이후 인지행동치료로 발전하며, 인지치료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행동치료

2. 행동치료 (Behavioral Therapy)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를 알기 위해서 행동치료 내용에 대해 아는 것이 이해가 빠를 수 있습니다.

행동치료(Behavioral Therapy)는 1900년대에 발달한 치료 중 하나로,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이론이 만들어졌습니다. 아래에 대표적인 행동치료 이론을 알아보겠습니다.

1) 조건반사 이론

조건반사 이론(Classical Conditioning Theory)이반 파블로프(Ivan Pavlov)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01~1902년 사이에 파블로프의 개 실험을 통해 이론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조건반사 이론은 동물이 선천적인 자극에 대한 반응(개가 먹이를 보고 침을 흘리는 행동)에서 다른 학습을 통해 관계가 없는 자극(종소리)에 대해서도 똑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Pavlovian Conditioning Experiment)에서 개에게 음식을 제공하기 전에 매번 종을 울리는 실험을 하였는데 종소리만으로도 개가 침을 흘리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파블로프의 개 실험으로 조건반사 이론이 증명되었으며, 사람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게 되고 행동치료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2) 리틀 알버트 실험

리틀 알버트 실험(Little Albert Experiment)은 조건반사 이론을 사람에게 적용한 실험으로, 존 왓슨(John B. Watson)과 로잘리 레이너(Rosalie Rayner)에 의해 1920년에 시행되었습니다.

리틀 알버트 실험 대상은 알버트라는 9개월 된 어린 아이였습니다. 원래 알버트는 흰 쥐를 보고 무서워하거나 두려움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흰 쥐를 보여주면서 그와 동시에 큰 소리로 알버트를 놀라게 하였습니다. 이후부터 알버트는 몇 차례 큰 소리가 들리면서 쥐를 보면 무서워하면서 우는 모습을 발견하였습니다.

리틀 알버트 실험을 통해 조건반사가 인간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3)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Operant conditioning theory)은 심리학자 스키너(Burrhus F. Skinner)1930년대 중반 ~ 1940년대에 걸쳐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조작적 조건화는 쥐에게 특정 행동을 할 때 보상(음식)과 처벌(불쾌한 자극)로 조건을 두었고, 그에 따라 쥐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실험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쥐는 보상을 받으면서 해당 행동을 더 자주하였고, 처벌을 받을 때는 해당 행동을 덜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행동 수정, 학습에 대한 원리를 알게 되었습니다.

4) 체계적 둔감법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은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인 조셉 울프(Joseph Wolpe)1950년대에 개발한 방법으로, 불안 장애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체계적 둔감법이란 환자가 두려워하는 자극(감각)을 천천히 조금씩 노출 시키면서 동시에 이환 훈련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두려워하는 자극을 직접 경험하면서 직면하는 가운데 깊은 이완을 통해 편안함을 느끼게 합니다.

행동치료

3.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 알아보기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는 1980년대에 개발되었습니다. 인지치료가 1960년대에 개발된 후 1970년대에 행동과 인지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심리학자들은 인지적 접근과 행동적 접근이 서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식하면서 1980년대에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결합되었습니다.

1980년대에 아론 벡(Aaron T. Beck)의 인지치료와 앨버트 앨리스(Albert Elis)가 개발한 합리적 정서 행동 치료(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REBT)가 상호 보완되면서 인지행동치료로 발전하였습니다.

즉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는, 인지치료는 1960년대에 아론 벡이 개발한 사고와 믿음을 주로 다루는 정신 치료이고, 인지행동치료는 1980년대에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결합된 치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에는 인지치료만 따로 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인지치료가 인지행동치료와 동의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

4. 결론 and Q&A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를 알아보았습니다.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는 그 순서와 연관되어 있으며, 1960년대에 인지치료가 먼저 개발되었고 이후 행동치료와 결합되면서 1980년대에 인지행동치료가 만들어졌습니다.

현재는 인지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아래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와 관련하여 자주하는 질문, 요점을 파악해보겠습니다.

1)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는 무엇인가요?

인지치료는 사고와 믿음을 변화시켜 그 사람의 감정과 정신 질환을 변화시키는 치료입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인지치료와 마찬가지로 사고를 다루나 행동 변화 또한 다루는 치료입니다.

현재는 인지치료와 행동치료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함께 복합적으로 치료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2)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차이는 알겠는데 그럼 인지행동치료가 효과가 더 좋은가요?

인지적인 접근, 행동적인 접근을 함께 하기 때문에 더 효과적이며 치료 성과가 좋을 수 있습니다. 행동 뿐만 아니라 감정의 3요소인 사고, 행동, 생리를 모두 다루면서 전체적인 변화를 목표로 합니다.

다음 파트인 인지행동치료 방법이 궁금하거나 인지행동치료 감정이 알고 싶을 경우 아래 글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정보 출처 및 참고자료 사항

[책] 인지행동치료 이론과 실제 (1장 인지행동치료 역사 파트) – 쥬디스 백 (Judith S. Beck) / 하나출판사
[강의] 정신 건강 요원 훈련 중 강의 – 최영희 박사 (인지치료, 행동치료 역사 파트)



– Be the Titan 타이탄 브레인

압축 로고

참고할만한 관련 글

Leave a Comment